맨위로가기

폭력 교실 (1955년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폭력 교실》(Blackboard Jungle)은 1955년에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영화로, 리처드 브룩스가 감독했다. 글렌 포드, 시드니 포이티어 등이 출연하며, 문제 학생들로 가득한 학교에 부임한 교사의 이야기를 그린다. 영화는 청소년 비행과 교육 문제를 다루며, 빌 헤일리 & 히스 코메츠의 "록 어라운드 더 클락"을 삽입하여 로큰롤 시대를 알리고 1950년대 청소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비평가들의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으며, 2016년에는 미국 국립 영화 등록부에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록 음악 영화 - 스쿨 오브 락
    《스쿨 오브 락》은 2003년 개봉한 코미디 영화로, 잭 블랙이 록 음악을 가르치는 가짜 교사로 변신하여 학생들과 밴드를 결성, 밴드 대결에 참가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미국의 록 음악 영화 -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
    2000년에 개봉한 미국의 로맨틱 코미디 영화 사랑도 리콜이 되나요는 닉 혼비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레코드 가게를 운영하는 롭 고든이 여자친구에게 차인 후 과거의 연애를 되돌아보며 사랑과 관계에 대해 고찰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1955년 영화 - 아카딘 씨
    오슨 웰스가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1955년 영화 아카딘 씨는 백만장자 그레고리 아카딘이 자신의 과거를 숨기기 위해 고용한 밀수업자를 통해 어두운 비밀을 감추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등장인물과 여러 편집본 존재, 웰스의 창작 통제권 상실 등이 특징이다.
  • 1955년 영화 - 마티 (영화)
    1955년 델버트 맨 감독의 영화 《마티》는 브롱크스에 사는 34세 이탈리아계 미국인 정육점 주인 마티가 댄스홀에서 만난 평범한 여교사 클라라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과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폭력 교실 (1955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영화 포스터
원제Blackboard Jungle
감독리처드 브룩스
각본리처드 브룩스
제작파드로 S. 버먼
원작에번 헌터의 소설 "블랙보드 정글"
주연글렌 포드
앤 프랜시스
루이스 칼헌
음악맥스 C. 프리드먼, 지미 데나이트 (노래 "Rock Around the Clock") (미표기)
윌리스 홀먼 (노래 "Blackboard Jungle")
제니 루 칼슨 (노래 "Let Me Go, Lover!") (미표기)
촬영러셀 할런
편집페리스 웹스터
제작사메트로-골드윈-메이어
배급사Loew's Inc.
개봉일1955년 3월 20일 (뉴욕)
1955년 3월 25일 (미국)
1955년 8월 21일 (일본)
상영 시간101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제작비1,168,000 달러
흥행 수입8,144,000 달러 (미국)
1억 3647만 엔 (일본)
기타 정보
영화 등재미국 국립 영화 등기부 등재

2. 줄거리

1950년대 중반, 리처드 데이디어는 다양한 민족적 배경을 가진 도심 학교인 노스 매뉴얼 트레이드 고등학교의 새로운 교사로 부임한다. 학생 그레고리 밀러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반사회적인 행동을 한다. 학교 교장 워네케는 규율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머독을 비롯한 교직원들은 데이디어에게 그렇지 않다고 경고한다. 데이디어는 다른 두 명의 신임 교사인 조슈아 에드워즈와 로이스 해먼드와 친구가 된다.

데이디어의 반에는 밀러와 반항적인 불량배이자 갱 리더인 아티 웨스트가 있다. 반 학생들은 데이디어에게 존경심을 보이지 않는다. 데이디어는 밀러가 반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도록 격려한다. 데이디어가 해먼드 선생님을 공격한 학생을 제압한 후, 반 학생들은 데이디어에게 침묵으로 일관하며 더욱 비협조적으로 변한다. 데이디어와 에드워즈는 웨스트의 갱에게 강도를 당한다.

사직을 망설이던 데이디어는, 규율이 잘 잡힌 학생들을 둔 학업 우수 학교의 교장인 그의 전직 교사 크랄 교수를 찾아 조언을 구한다. 크랄은 데이디어에게 일자리를 제안하지만, 데이디어는 거절한다. 데이디어는 반 학생들에게 서로 인종차별적인 비속어를 사용한다고 꾸짖은 후, 워네케로부터 교실에서 인종차별적인 비속어를 사용했다는 거짓 비난을 받는다. 웨스트는 갱과 함께 신문 트럭을 강탈하다가 데이디어와 마주친다. 웨스트는 데이디어에게 자신의 교실은 길거리에 있다며 자신을 내버려두라고 말한다. 웨스트를 선두로 한 몇몇 학생들은 에드워즈의 교실을 습격하여 그의 음악 레코드 컬렉션을 파괴한다.

임신 중인 데이디어의 아내 앤은 데이디어와 해먼드 선생님이 불륜 관계라는 익명의 편지와 전화를 받기 시작한다. 데이디어는 밀러가 피아노를 치고 노래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밀러가 어떻게 그런 재능을 보이면서 동시에 그렇게 반항적일 수 있는지 궁금해한다. 데이디어는 반 학생들에게 "잭과 콩나무"에 관한 애니메이션 영화를 보여주며 도덕적 선택에 대한 토론을 유도한다. 앤은 데이디어의 불륜 혐의에 대한 전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조산한다. 이웃이 데이디어에게 익명의 편지를 보여주자, 그는 분노하며 사직하기로 결심한다. 머독은 그에게 계속 남아 진전을 보이고 자신에게도 영감을 주었다고 말하며 그를 격려한다. 앤은 데이디어의 정절을 의심한 것에 대해 사과하고 그에게 사직하라고 말한 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한다. 조산한 그들의 아들은 허약했지만 결국 건강하게 자란다.

데이디어는 웨스트가 다른 학생의 답안지를 베끼는 것을 보고 웨스트에게 답안지를 앞으로 가져와서 5점을 감점하라고 요구한다. 웨스트는 반복되는 요구를 거부하지만, 데이디어는 굽히지 않는다. 갈등은 빠르게 격화되고, 웨스트는 스위치 블레이드 칼을 꺼낸다. 데이디어는 물러서지 않는다. 밀러는 웨스트의 조력자이자 반 친구인 벨라지가 뒤에서 데이디어를 공격하려는 것을 막는다. 나머지 웨스트의 갱들은 돕지 못한다.

데이디어는 웨스트가 워네케 씨와 앤에게 한 거짓 주장을 비난한다. 데이디어는 웨스트를 제압하고, 다른 학생들은 칼을 들고 도망치려던 벨라지를 제압하는 데 동참한다. 그 후 밀러는 데이디어가 웨스트와 벨라지를 교장실로 데려가는 것을 돕도록 반 학생들을 이끈다. 마지막 장면에서 밀러와 데이디어는 학년말에 서로 사직할 건지 묻는다. 밀러는 다른 한 명이 남으면 자신도 남겠다는 약속을 했기 때문에 아니라고 말한다. 데이디어의 표정은 그가 약속을 깰 의향이 없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3. 등장인물

다음은 영화 《폭력 교실》의 등장인물 정보이다.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1]



이 외에도 루이 칼헌, 마거릿 헤이즈, 존 호이트, 리처드 킬리 등 여러 배우들이 조연으로 출연하였다. 이 영화는 라파엘 캄포스, 빅 모로, 제이미 파의 데뷔작이며, 시드니 포이티어의 초기 작품 중 하나이다. 제이미 파는 나중에 M*A*S*H TV 시리즈에서 클링어 하사 역으로 유명해졌다.

일본어 더빙판은 도쿄 12ch판과 TV판 두 가지 버전이 있으며, 1968년10월 3일 목요 명화 극장에서 처음 방송되었다.

3. 1. 주연

기타요시자와 히사카
오미야 테이지
무라세 마사히코
아메모리 마사시
카토 오사무
코미야마 키요시
나야 로쿠로
시오미 류스케첫 방송1968년10월 3일
『목요 명화 극장』



3. 2. 조연

다음은 영화 《폭력 교실》의 조연 배우 목록이다.

4. 제작 배경

헌터의 소설은 브롱스 직업 고등학교(현재는 알프레드 E. 스미스 직업 기술 교육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던 그의 초기 경험을 바탕으로 쓰였으며, 이곳은 사우스 브롱스에 위치해 있다.[5] 당시 살바토레 롬비노로 알려졌던 헌터는 헌터 칼리지를 졸업한 후 1950년에 교사직을 맡았으나, 곧 실망하여 두 달 만에 좌절감으로 그만두었다.[5]

5. 평가

보즐리 크라우더, 버라이어티, 해리슨 보고서, 존 맥카튼 등은 이 영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6][7][8][9]

반면, 워싱턴 포스트의 리처드 L. 코는 이 영화가 "선정적"이라고 비판했고,[10] 월간 영화 게시판은 "조작된 상황"과 "얇은 캐릭터 묘사"를 지적하며 엇갈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1]

5. 1. 긍정적 평가

드라이브인 광고, 1955년


보즐리 크라우더는 ''뉴욕 타임스''에 "이 작품은 청소년 폭력에 대한 정통 멜로드라마로서 생생하고 소름끼치는 영화이다. 교사와 그의 아내와 그녀의 출산에 대한 약간의 로맨스를 제외하면, 못처럼 강하고 날카롭다."라고 평했다.[6]

''버라이어티''는 "동시대의 문제점을 강하게 제기하는 멜로드라마적인 영향력을 가진 영화이다. 캐스팅 또한 예외적으로 훌륭하다."라고 평했다.[7] ''해리슨 보고서''는 "암울하고 강력한 멜로드라마, 비열하고 긴장되며 불안하다. 이 영화는 의심할 여지없이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키겠지만, 동시에 흥행 면에서도 최고를 기록할 것이다."라고 평했다.[8]

존 맥카튼은 ''뉴요커''에 "이 영화는 많은 결점(때로는 연기가 불안정하고 결말이 다소 믿기 어렵다)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제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으며, 상황에 따라 불안한 작품이다."라고 평했다.[9]

5. 2. 부정적 평가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의 리처드 L. 코는 이 영화를 "그 지지자들이 주장하는 칭찬할 만한 목적을 무효화할 정도로 선정적"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월간 영화 게시판(The Monthly Film Bulletin)''은 다음과 같이 엇갈린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6. 사회적, 문화적 영향

로튼 토마토는 이 영화에 76%의 신선도 등급을 부여했다. 시드니 포이티어의 최고 작품 목록에서는 이 작품을 포이티어를 유명하게 만든 역할이라고 평하며, 에반 헌터의 도시 학교 상황에 대한 획기적인 소설을 바탕으로 한 이 폭력적이고 논쟁적인 영화는 교육자와 학생들의 고군분투를 잘 보여준다고 언급했다. 또한, 현대 관객들은 포이티어의 배역인 그레고리 밀러가 사용하는 전술에 공감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그의 연기가 사회와 교육에 미친 문화적 영향은 부인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12]

이 영화는 현재까지도 논쟁이 되고 있는 교사 급여 문제도 다루고 있다. 대화 내용에 따르면 1955년 교사들의 시간당 급여는 2USD였고, 연봉은 약 4000USD였는데, 이는 국회의원과 판사가 9.25USD, 경찰관과 소방관이 2.75USD, 목수가 2.81USD, 배관공이 2.97USD, 미장공이 3.21USD를 받는 것과 비교된다.

2005년 3월, 로큰롤의 일반적인 인기를 급증시키는 데 영향을 미친 이 영화 개봉 50주년을 기념하여, 원조 빌 헤일리 & 히스 코메츠의 생존 멤버들이 참여한 일련의 "Rock Is Fifty" 축하 행사가 로스앤젤레스와 뉴욕시에서 열렸다.

2016년, 이 영화는 미국 국립 영화 등록부에 의해 의회 도서관에 보존 영화로 선정되었다.

1982년 범죄 영화이자 액션 스릴러 영화인 ''1984년의 학급(Class of 1984)''는 ''검은 칠판''을 느슨하게 리메이크한 작품으로, 글렌 포드, 빅 모로, 시드니 포이티어의 역할을 각각 페리 킹, 티모시 반 패튼, 마이클 J. 폭스가 맡았다.[27]

2007년, ''Journal of Criminal Justice and Popular Culture''는 영화와 범죄 이론 및 청소년 비행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기사를 게재했다.[28]

2015년, ''Journal of Transnational American Studies''는 서독과 일본에서 이 영화의 수용에 초점을 맞춘 연구를 발표했다.[29]

자메이카의 영향력 있는 레게 앨범 ''Upsetters 14 Dub Blackboard Jungle(Blackboard Jungle Dub)'' (1973) by ''The Upsetters''는 영화의 제목을 참조했다.

6. 1. 로큰롤의 확산

빌 헤일리 & 히스 코메츠(Bill Haley & His Comets)의 록 어라운드 더 클락(Rock Around the Clock)이 영화 오프닝 크레딧(원래 발매된 싱글과는 달리 긴 드럼 솔로가 도입부로 사용됨)과 B면, 영화 중간의 기악 버전, 영화 마지막 장면에 사용되면서 로큰롤 혁명의 시작을 알렸다.[20] 영화에 삽입되면서 이 곡은 즉각적인 히트를 기록했고, 이전에 발매되었을 때는 판매량이 제한적이었지만, 영화 사용으로 대중화된 "Rock Around the Clock"은 빌보드 차트에서 1위를 차지하여 8주 동안 그 자리를 지켰다.[21] 이 곡은 1950년대 반항적인 청소년들의 찬가가 되었으며,[12] 팝 차트에서 두 달 동안 1위를 차지했고, R&B 차트에서는 3위에 올랐다.[13]

일부 극장에서는 이 영화가 처음 상영될 때, 로큰롤이 나쁜 영향으로 여겨져 영화 시작 부분에 이 노래가 전혀 나오지 않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화의 다른 부분에서는 이 노래가 잘리지 않았다.

이 음악은 영화에 대한 많은 십 대 관객을 불러 모았고, 그들의 열광적인 반응은 때때로 상영 중 폭력과 기물 파손으로 이어졌다.[22] 이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20세기 후반에 나타난 십 대 반항의 시작을 알리는 작품으로 여겨진다. 이 영화는 테네시주 멤피스조지아주 애틀랜타(Atlanta, Georgia)에서 상영이 금지되었고,[23] 애틀랜타 검토 위원회는 이 영화가 "부도덕하고, 외설적이며, 방탕하며, 도시의 평화, 건강, 도덕 및 질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24]

이 영화는 영국에서 중대한 분기점을 마련했고, 원래는 영화 상영 허가를 거부당했지만 심한 편집을 거쳐 통과되었다. 1956년 런던 남부 엘리펀트 앤 캐슬의 한 영화관에서 상영되었을 때, 십 대 테디 보이 관객들이 난동을 부리기 시작하여 좌석을 뜯어내고 통로에서 춤을 췄다.[25] 그 후, 이 영화가 상영되는 곳마다 전국적으로 폭동이 일어났다.[26]

글렌 포드의 아들이 이 곡의 레코드를 가지고 있었고, 그것이 계기가 되어 기용되었다.

6. 2. 청소년 문화와 사회 문제

이 영화에 삽입된 빌 헤일리 & 히스 코메츠의 "록 어라운드 더 클락(Rock Around the Clock)"은 1950년대 반항적인 청소년들의 찬가가 되었고, 팝 차트에서 두 달 동안 1위를 차지했다.[12][13] 이 곡은 영화 오프닝 크레딧 등에 사용되어 로큰롤 혁명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20] 영화 개봉 후, 이 곡은 빌보드 차트 1위를 8주 동안 지켰다.[21]

이 영화는 10대 관객을 불러 모았고, 이들의 열광적인 반응은 때때로 상영 중 폭력과 기물 파손으로 이어졌다.[22] 이는 20세기 후반 10대 반항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여겨진다. 테네시주 멤피스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는 상영이 금지되기도 했다.[23] 영국에서는 심한 편집을 거쳐 상영 허가를 받았으나, 1956년 런던 남부의 한 영화관에서 상영되었을 때 테디 보이 관객들이 난동을 부리는 사건이 발생했다.[25] 이후 이 영화가 상영되는 곳마다 전국적으로 폭동이 일어났다.[26]

로튼 토마토는 이 영화에 76%의 신선도 등급을 부여하며, 시드니 포이티어의 배역인 그레고리 밀러의 연기가 사회와 교육에 미친 문화적 영향은 부인할 수 없다고 평가했다.

이 영화는 교사 급여 문제도 다루고 있다. 1955년 교사들의 시간당 급여는 2USD였고, 연봉은 약 4000USD였다.

일본에서는 1955년 8월에 무심사로 공개되면서 청소년에 대한 영향이 우려되었다. 공개 전후 신문 기사들은 과격한 폭력 묘사를 보도했고, 1955년 9월 5일에는 영화 장면을 흉내 낸 고등학생이 친구를 칼로 찌르는 사건이 발생했다. 9월 13일, 문부성의 통지로 각지에서 상영 시간 단축, 보류, 중지 조치가 취해졌다. 가나가와현에서는 9월 9일, 가나가와현 아동 복지 심의회가 청소년 관람 금지 영화로 결정했다.[31]

7. 수상 및 후보

부문후보결과참고
아카데미상각색상리처드 브룩스후보[14]
[15]
미술상 – 흑백미술: 세드릭 기번스와 랜들 듀엘;
세트 장식: 에드윈 B. 윌리스와 헨리 그레이스
후보
촬영상 – 흑백러셀 할란후보
편집상페리스 웹스터후보
미국 감독 조합상영화 부문 뛰어난 감독상리처드 브룩스후보[16]
미국 국립 영화 보존 위원회국립 영화 등기부등재[17]
미국 작가 조합상최우수 미국 드라마 각본상리처드 브룩스후보[18]



2010년, 터너 클래식 무비(TCM)는 이 영화의 사운드트랙을 역대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사운드트랙 15선에 포함시켰다. TCM은 영화의 영향력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MGM은 <폭력 교실>로 할리우드를 로큰롤 시대로 이끌었다. 영화 속 잠재적 문제아들이 듣는 음악을 찾기 위해, 리처드 브룩스 감독은 주연 배우 글렌 포드의 아들 피터에게서 몇 개의 레코드를 빌렸다. 그는 빌 헤일리 앤 히스 코메츠가 'Rock Around the Clock'를 연주하는 것을 듣고 완벽한 주제가를 찾았다. 이는 할리우드 장편 영화에 사용된 최초의 록 음악이었다. 10대들은 오프닝 크레딧에서 노래가 나오자 극장 통로에서 춤을 추며 영화에 몰려들었다. 부모들은 그러한 억제되지 않은 행동에 충격을 받았을 수도 있지만, 상영회에서 폭력과 기물 파손이 전 세계적으로 영감을 받으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폭력 교실> 덕분에 이 곡은 빌보드 차트 1위에 올랐고, 결국 2,500만 장이 판매되었으며, 딕 클락은 이 곡을 '로큰롤의 국가'라고 불렀다.[19]

참조

[1] 웹사이트 Blackboard Jungle - Details http://catalog.afi.c[...] 2018-06-25
[2] 간행물 The Eddie Mannix Ledger Margaret Herrick Library, Center for Motion Picture Study
[3]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https://www.loc.gov/[...] 2020-09-17
[4] 웹사이트 With "20,000 Leagues," the National Film Registry Reaches 700 https://www.loc.gov/[...] 2020-09-17
[5] 뉴스 Evan Hunter's Success Came Out of the 'Jungle' https://www.newspape[...] 2022-04-04
[6] 논문 The Screen; 'Blackboard Jungle': Delinquency Shown in Powerful Film https://www.nytimes.[...] 1955-03-21
[7] 논문 Blackboard Jungle 1955-03-02
[8] 논문 'Blackboard Jungle' with Glenn Ford, Anne Francis and Louis Calhern 1955-03-05
[9] 간행물 The Current Cinema 1955-03-26
[10] 뉴스 Now, We're Stuck With It 1955-05-08
[11] 논문 Blackboard Jungle 1955-10
[12] 웹사이트 Bill Haley http://www.rockhall.[...] 2016-10-10
[13] 서적 Rock'n America: A Social and Cultural Histo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5-01-27
[14] 웹사이트 The 28th Academy Awards (1956)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2011-08-20
[15] 웹사이트 NY Times: Blackboard Jungle https://movies.nytim[...] 2008-12-22
[16] 웹사이트 8th Annual DGA Awards https://www.dga.org/[...] Directors Guild of America Awards 2021-06-03
[17] 웹사이트 Complete National Film Registry Listing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24-12-20
[18] 웹사이트 Awards Winners http://www.wga.org/a[...] Writers Guild of America Awards 2010-06-06
[19] 웹사이트 TCM List of the Top 15 Most Influential Movie Soundtracks http://www.tcm.com/d[...]
[20] 웹사이트 Show 5 - Hail, Hail, Rock 'n' Roll: The rock revolution gets underway. [Part 1] https://digital.libr[...]
[21] 서적 The Beatles: All These Years: Volume One: Tune In https://search.world[...] Little, Brown
[22] 웹사이트 The 50-year-old song that started it all http://www.cnn.com/2[...] CNN.com 2006-08-15
[23] 웹사이트 Blackboard Jungle - Notes https://www.tcm.com/[...] 2024-01-20
[24] 논문 Pictures: Metro Fights Atlanta Lady Censor Who Banned 'Blackboard Jungle' Outright 1955-06-08
[25] 서적 The Subcultures Read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26] 논문 The Teddy Boy as Scapegoat http://elib.doshisha[...]
[27] 문서 Maltin's TV, Movie & Video Guide
[28] 논문 Juvenile Delinquency and Crime Theory in Blackboard Jungle http://www.albany.ed[...] 2015-12-01
[29] 논문 A Transnational Tale of Teenage Terror: The Blackboard Jungle in Global Perspective https://escholarship[...] 2019-07-07
[30] 문서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31]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32] 간행물 The Eddie Mannix Ledger Margaret Herrick Library, Center for Motion Picture Stud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